728x90
반응형

전체 글 324

DLSS (Deep Learning Super Sampling)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nVidia RTX 50 시리즈가 발표되었고, 성능과는 별개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서 시끌시끌합니다.​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AMD가 9070으로 좋은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만, 이런 이야기말고 nVidia가 새롭게 발표한 DLSS 4.0에 대한 기술적 이야기와 AMD의 경재 기술인 FSR도 같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1. DLSS (Deep Learning Super Sampling) DLSS는 nVidia가 개발한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의 이름입니다. Deep Learning Super Sampling의 약자로, 낮은 해상도에서 렌더링된 게임 이미지를 AI를 활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로 업스케일링하여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프레임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Deep_Learning 2025.03.22

MSM-07 Z'gok MG 도색 & 먹선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즈고크 작업기 올리면서 생존신고합니다.​다리부분이랑 백팩, 팔 일부분을 멋있게 보이려고 검은색으로 칠했는데.... 약간 이상한 것 같습니다.ㅎㅎ​망한 건가요...;;;     검은색 부분에도 먹선을 넣어볼까 했는데, 무광 검은색이다보니 어떤 색으로 해도 티가 나지 않더군요.​사진에 보이는 검은색 도색한 부분에 갈색으로 먹선을 넣었는데도 전혀 티가 나지 않네요.​이번 실패로 또 하나 배웠습니다.ㅎㅎ                                  이제 데칼붙이고 무광마감하고 웨더링 작업을 하면 마무리 될 것 같습니다.ㅎㅎ​이제 슬슬 끝이 보이네요~​다음에 또 찾아뵙겠습니다.​감사합니다.​

건프라 2025.03.22

MSM-07 Z'gok MG 즈고크 웨더링 준비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오랜만에 건프라 Post로 생존신고 합니다.​즈고크 패널라인 작업을 마치고 도색하기 전에 추후에 웨더링하기 위해서 준비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저번에 릭돔 웨더링을 해보니, 색깔만으로 웨더링 느낌이 잘 나지 않아서 이번에는 스크래치도 넣어볼까 합니다.​구멍도 이곳 저곳 파고, 니퍼로 막 잡아 뜯었습니다.ㅎㅎ​이럴거면 패널라인은 왜 그렇게 신중하게 팠는지 살짝 후회가 되기도 하네요.​처음 해보는 거라서 나중에 완성하고 나면 어떨지 약간 두렵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네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은 도색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기본 색상을 그대로 놔두고 조금씩만 부분도색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건프라 2025.03.22

서울 아이들과 가볼만한 곳 -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은 작년에 개관을 했다는 소식은 들었는데, 한 번 가봐야지 하고 늘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예약이 필수여서 예약을 하려고 할 때 마다 순식간에 마무리가 되버리는 바람에 가지 못하고 있었는데, ​지난 달에 운이 좋게 예약이 되어서 한달을 기다린 끝에 아이들 방학에 맞춰서 드디어 가 볼수 있게 되었습니다.​예약은 아래 Link에서 할 수 있습니다.https://yeyak.seoul.go.kr/web/main.do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한번에 쉽게 간편하게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yeyak.seoul.go.kr 위치는 창동역 1번 출구에서 나오면 바로 보입니다. 서울 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13길 5602-920-4300/4301    저 멀리 하얀색 ..

여행 2025.03.03

Pandas Dataframe에 apply()에서도 진척도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저는 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Model Train을 한다든지, Data 전체에 걸친 작업을 해야 하는데 금방 끝나지 않는 경우에 곡 tqdm을 사용해서 진척도를 확인하는 편입니다.​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혹시 뻗은 건 아닌지 확인해야 마음이 편해지기 때문입니다.​그런데, Pandas Dataframe에 apply()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척도를 볼 수가 없어서 답답한 경우가 있습니다.​이번 Post에서는 Pandas Dataframe에 apply()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tqdm의 진척도 그래프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apply()대신 progress_apply()를 사용하면 됩니다.​생각보다 너무 쉬..

Deep_Learning 2025.03.03

MSM-07 Z'gok MG 즈고크 패널라인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그 동안 여러가지 일이 많아서 취미 생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는 못했습니다.​그래서 그런지, 부품이 많지 않은 Kit임에도 불구하고 진척도가 영 아니네요~ㅎㅎ​즈고크는 부품수는 많지 않지만, 부품들의 특징이 크고 넓은 면적을 가진 것들이 많습니다.​게다가, 곡선 부분도 많아서 패널라인을 넣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욕심을 부려서 구석구석 이리저리 많이 그었습니다.ㅎㅎ​​​​​​ ​​​​​ ​​​​​​​​​​​​​​​이제 도색을 진행해야 하는데, 나중에 웨더링을 할 예정이라서 크게 도색에는 신경을 안 쓰고 포인트 부분만 조금 해 줄 예정입니다.​봐주셔서 감사합니다.​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건프라 2025.02.20

캡틴 아메리카 : 브레이브 뉴 월드( Captain America : Brave New World ) - 마블 부활의 신호탄 !!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지난 수요일에 개봉한 '캡틴 아메리카 : 브레이브 뉴 월드( Captain America : Brave New World )'를 관람하고 왔습니다.​엔드게임 이후 지난 몇 년간 마블의 걱정스런 행보를 마블의 팬으로써 봐오면서, 실망을 금치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 '브레이브 뉴 월드'를 보니 이제 정신을 차린 것 같았습니다.​저는 이번 영화를 한 마디로 "마블 부활의 화려한 신호탄 !!"이라고 하고 싶습니다.​하나씩 기억을 떠올리면서 정리하는 Post를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제 영화 Post는 언제나 그렇듯 스포일러로 가득하니 아직 영화 안 보신 분들이라면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   1. 줄거리( 스포일러 한가득 ! ) 이전과는 달라진 마블 인트로로 영화는 시작되고..

영화 2025.02.20

Transfer Learning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이번 Post에서는 Deep Learning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Transfer Learning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Transfer Learning 개요 ​ 1.1. Transfer Learning이란 ?Deep Learning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Model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Model을 처음부터 학습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우수한 성능을 갖춘 Deep Learning Model을 훈련하려면 대량의 데이터와 강력한 연산 자원이 필요하며,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됩니다.​또한, Model 학습이 한 번에 완벽하게 된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며, 매우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

Deep_Learning 2025.02.20

PyTorch에서 .to(device)를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PyTorch를 사용하다보면, Tensorflow에는 없는 '.to(device)'라는 문구를 보게 됩니다.​이번 Post에서는 이 명령어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딥러닝 연산과 하드웨어 딥러닝 모델은 엄청난 부동소수점 연산을 행렬 연산(Matrix Computation)을 수행합니다.​이러한 연산은 CPU에서도 가능하지만,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활용하면 훨씬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CPU (중앙처리장치)GPU (그래픽처리장치)연산 방식직렬(Serial) 연산병렬(Parallel) 연산핵심 개수소수의 강력한 코어수천수만 개의 작은 코어연산 속도일반적인 연산에 적합대량의 연산을 빠르게 처..

Deep_Learning 2025.02.20

IRP 계좌에 세액공제를 위한 추가납입하는 방법(feat. mPOP)

안녕하세요, MoonLight입니다.​오늘은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었으니, 다시 IRP 계좌에 세액공제를 위해서 납입을 해야겠죠?​IRP 계좌는 일반 계좌와 약간 달라서 그냥 송금만 해서는 세액공제를 위한 입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한 단계 더 해야하는 복잡함과 귀찮음이 있는데요, 조금 귀찮을 뿐이지 어렵지는 않으니 제가 오늘 한 번 어떻게 하는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저는 삼성증권 mPOP을 사용하고 있어서, mPOP UI 기준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다른 증권사 App.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1. IRP 계좌에 송금​​우선 위와 같이 자산/대출 - 이체/출금 - 즉시이체 순서로 선택합니다.​​​​위와 같이 IRP 계좌에 송금을 할 금액을 설정합니다.​​​ ​받을 계좌에..

금융 & 재테크 2025.02.20
728x90
반응형